자동차를 운전하다 보면 크고 작은 사고가 발생하기 마련입니다. 안전 운전으로 사고가 안 나는 게 가장 좋겠지만 사고가 나게 된다면 과실비율을 따지기 때문에 정확한 과실비율을 확인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.
운전 및 교통사고 시 모르면 손해 볼 수 있는 과실비율 확인 방법에 대해 알아보시기 바랍니다.
과실비율이란?
과실비율이란 교통사고 발생 시 운전과정에서 운전자가 가져야 할 주의의무를 위반한 것에 대한 책임을 말합니다. 사고 피해자와 가해자의 서로 책임 비율을 나타내는 말이기도 합니다.
과실비율은 사고 발생 시 경찰, 보험사직원, 사고감정사들이 사고 과정과 원인, 자료들을 판단하여 과실 비율이 산정됩니다.
과실은 잘못이라기보다는 책임의 의미를 부여합니다. 피해자라도 과실이 주어질 수 있고 부주의에 대한 책임을 지는 것이라 말할 수 있습니다.
운전사고 과실비율 확인하기
운전사고 과실비율은 굉장히 다양한 경우가 있지만 자신의 경우에 맞는 과실비율을 온라인을 통해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.
자동차사고 분쟁심의위원회 사이트를 이용해 사건 별로 과실비율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. 차와 차의 사고, 차와 사람, 고속도로 등에서 발생하는 모든 유형을 알아볼 수 있습니다.
자동차사고 과실비율 분쟁심의위원회
과실비율 인정기준 ▶ 나의 과실비율 알아보기
accident.knia.or.kr
자주 발생하는 과실비율 예시 보기
가장 자주 발생하는 과실비율을 확인하고 자신의 경우가 있는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.
1. 차선 변경
동일한 진로로 차량을 운행하다가 차선 변경 중 진행차량과 추돌하는 사고입니다.
과실비율
A : 30
B : 70
차선을 변경하기 전 모든 뒤차와 충분한 거리를 확보해야 하고, 한눈팔지 않기와 전방주시의무를 지켜야 합니다.
2. 주정차 추돌 사고
도로 및 보도 가장자리에 정지되어 있던 차와 추돌 사고가 일어나는 경우입니다.
과실비율
A : 0
B : 100
폭우와 안개 등 시야가 가려지고 경고등이 없다면 A에 10~20의 과실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. 일반적으로 부주의 및 전방주시를 하지 않아 발생합니다.
3. 직진과 좌회전 추돌 사고
신호등 및 교통정리가 이루어지지 않은 곳에서 직선차량과 좌회선 차량 추돌 사고입니다.
과실비율
A : 30
B : 70
좌회전 차량은 직진도로의 통행을 충분히 확인하고 서행해야 합니다.
운전사고 과실비율에 대해 쉽고 간단하게 확인해 보았습니다.
댓글